태풍 여름과 가을에 주로 발생하는 자연현상이지만, 겨울에도 태풍이 생길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에는 겨울철 태풍이 오지 않을까요? 이번글에서는 겨울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유와 함께, 기후 변화가 태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1 겨울에도 태풍이 발생할까?

태풍은 해수면 온도가 26.5도 이상일때 발생하는데,주로 필리핀 근해, 남중국해, 적도 부근에서 형성된다고합니다. 하지만 겨울철이 되면 북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고 태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태풍은 겨울에도 형성되며, 필리핀과 동남아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겨울 태풍이 증가할 가능성은?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겨울철 태풍 발생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2015년 12월 태풍 멜로르는 필리핀에 큰 피해를 주었고 2019년 12월 태풍 파사이 역시도 남중국해에서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이 태풍들은 한반도로 북상하지 못했습니다.
2 우리나라에 겨울 태풍이 오지 않는 이유는?

1)강한 시베리아 고기압과 북서계절풍
겨울철 한반도는 강력한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 고기압을 통해 찬 북서풍이 태풍이 북상하는것을 막게됩니다. 즉, 태풍이 한반도로 접근하기 전에 이미 방향을 틀거나 소멸하게 됩니다.
2)낮은 해수면 온도
태풍은 따뜻한 해수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세력을 키웁니다. 하지만 겨울철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는 10도 이하로 떨어지면서 태풍이 힘을 잃고 약해집니다. 태풍경로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해수 온도입니다.
3)강한 제트기류의 영향
겨울철에는 편서풍과 강한 제트기류가 태풍의 이동 경로를 바꿉니다. 이로 인해 태풍이 한반도로 향하기보다는 일본 동쪽 해상으로 빠르게 이동하거나 태평양에서 소멸하게됩니다.
3 겨울 태풍이 한반도를 덮친 적이 있을까?

기록을 살펴보면 겨울철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됩니다. 하지만 일부 태풍의 경우 겨울철에도 발생하여 다른지역에 영향을 미친 경우가 있습니다.
✅2015년 12월 태풍 멜로르 : 필리핀을 강타 후 소멸
✅2019년 12월 태풍 파사이 : 남중국해에서 발생 후 빠르게 소멸
✅2004년 12월 태풍 낭카 : 태평양에서 발생했지만 일본방향으로 이동
이처럼 겨울철 태풍은 필리핀과 동남아지역에서 발생하더라도 한반도 까지 도달하는것은 쉽지 않습니다.
4 지구 온난화로 인해 겨울 태풍이 한반도에 올 가능성이 있을까?
기후 변화에 따라 해수 온도가 상승하게되면 겨울철 태풍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만약 북태평양 고기압과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변한다면, 겨울 태풍이 지금보다 더 북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기후 변화가 태풍 경로에 미치는 영향
- 해수온도 상승 ➡️태풍 발생 빈도 증가
- 고기압의 변화 ➡️태풍의 이동 경로 변경 가능성
- 대기 히름 변화 ➡️ 태풍의 강도 강화 가능성
아직까지 겨울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준 사례는 없지만 기후 변화가 계속된다면 장기적으로 그 가능성을 고려해야합니다.
5 FAQ (자주 묻는 질문)
Q1. 겨울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준 사례가 있나요?
- 현재까지 한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친 겨울 태풍사례는 없습니다. 다만, 일부 태풍이 겨울철에도 발생하여 동남아시아에 피해를 준적은 있습니다.
Q2.지구 온나화로 인해 겨울에도 태풍이 한반도에 올 가능성이 있나요?
-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온도가 상승하면 겨울 태풍의 발생 가능성은 증가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북태평양 고기압과 시베리아 고기압이 여전히 강하면 겨울철 태풍이 한반도로 북상하는것은 쉽지 않을것입니다.
Q3.태풍이 발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상요소는 무엇인가요?

- 태풍이 발생하려면 해수면 온도가 26.5도 이상, 대기 상층부의 기류가 태풍을 방해하지 않을것, 충분한 수증기 공급등의 요소들이 충족했을때 태풍이 발생하고 강한 세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6 결론

겨울에도 태풍이 발생할 수 있지만 한반도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강한 시베리아 고기압과 북서풍이 태풍의 북상을 차단
- 낮은 해수면 온도로 인해 태풍이 세력을 유지하기 어려움
- 강한 제트기류가 태풍의 경로를 동쪽으로 변경
그러나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온도가 상승하고 대기 흐름이 변화하면, 겨울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커질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기후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