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견례 호칭 가이드 예비신랑 예비신부 필독

상견례 호칭. 혹시 남자친구의 아버지,어머니를 어떻게 부르는지 또는 남자친구 동생을 머라 불러야할지 호칭이 막막하신가요? 오늘은 그런분들을 위해 상견례 호칭을 정리해보도록 할게요. 여러번 읽어보시고 상견례 자리에서 실수하는일이 없도록 해요.

상견례 호칭 – 예비 신부님의 입장에서

상견례 호칭은 양가 부모님이 처음 뵙는 공식적인 자리이기 때문에 정말 중요해요. 결혼을 ‘가족과 가족의 결합’으로 여기는 우리나라에서는 예비 신부님께서 상대를 부를 때 반드시 적절한 호칭을 사용해야 합니다. 오해를 막기 위해 아래 내용을 꼭 기억해두세요!

  1. 예비 신랑의 아버지는 ‘시아버님’ 또는 ‘아버님’으로 부릅니다. 어머님은 ‘시어머님’ 또는 ‘어머님’으로 대화하면 됩니다.
  2. 신랑의 형은 ‘아주버님’으로, 형의 아내는 ‘형님’이라고 부릅니다. 신랑의 누나에게는 ‘형님’이며, 누나의 남편은 ‘아주버님’이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손위 남성분은 ‘아주버님’, 손위 여성분은 ‘형님’이라고 부르면 돼요.
  3. 손아래 사람의 경우 신랑의 남동생은 ‘서방님’, 아내분은 ‘동서’라고 칭하며, 여동생은 ‘아가씨’, 남편은 ‘서방님’이라고 대화할 수 있습니다. 손아래 남성분은 ‘서방님’, 손아래 여성분은 ‘아가씨’ 또는 ‘동서’만 구분하면 돼요.

상견례 호칭 – 예비 신랑님의 입장에서

예비 신랑님의 입장에서도 상견례 호칭을 잘 알아두시는 것이 중요해요. 신부님의 아버지는 ‘장인어른’ 또는 ‘아버님’, 어머님은 ‘장모님’ 또는 ‘어머님’으로 대화하면 됩니다.

  1. 신부님의 오빠는 ‘형님’이나 ‘처남’, 아내는 ‘아주머니’ 또는 ‘처남댁’이라고 칭하고, 언니는 ‘처형’, 남편은 ‘형님’이라고 부릅니다.
  2. 남동생에게는 ‘자네’라고 부르거나 처남의 이름을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동생은 ‘처제’, 남편은 ‘동서’ 또는 ‘서방님’이라고 대화합니다.

상견례 호칭 – 양가 부모님의 입장에서

양측 부모님의 호칭은 ‘사돈’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나이 차이가 크다면 ‘사돈어른’ 또는 ‘사부인’으로 부르는 것이 좋아요.

또한, 자신의 자녀를 부를 때는 ‘제 딸’ 또는 ‘제 아들’이라고 말하며, 상대방의 자녀인 예비 사위와 며느리에게는 ’00군’, ’00양’이라는 호칭을 사용합니다.

예비 사위와 며느리의 남녀 형제들은 ‘사돈총각’, ‘사돈처녀’라고 부릅니다.

만일 상견례 자리에 할머님이나 할아버지께서 참석하신다면, **할머님은 ‘안사장어른’, 할아버지는 ‘사장어른’**으로 대화해 주세요.

상견례 호칭 – 예비 신랑님과 예비 신부님이 서로를 부를 때

마지막으로, 예비 신랑과 예비 신부는 이 날만큼은 서로를 ’00씨’로 부르고,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상견례는 공식적인 자리이므로 반말이나 편한 호칭은 피하는 것이 좋답니다.

예비 신랑신부님이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상견례에 임하면,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예비 신랑과 예비 신부님, 상견례 호칭에 관한 팁을 소개해드렸어요! 상견례는 결혼 준비 중 가장 중요한 자리 중 하나이므로, 호칭에 신경써서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해요.

만일 상견례 예절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여기]를 참고해보세요. 양가 부모님과의 상견례를 즐겁고 따뜻한 시간으로 만들 수 있기를 바라며, 행복한 결혼식을 앞두고 기대되는 하루가 되시길 바라요! 걱정 마시고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