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을 분실했는데, 다시 받을 수 있을까?” 식품업이나 급식소에서 일하는분들이라면 한번쯤 고민하게 되는 질문입니다. 특히 여름철 위생 점검 시즌이 되면 보건증이 필요한 상황이 많아지는데요. 오늘은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재발급 기간, 유효기간,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 2024년 개정사항도 함게 포함되니 꼭 끝까지 확인해주세요.
목차
보기
1️⃣ 보건증 재발급, 언제 가능한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유효기간이 남아 있는 동안이라면 언제든지 재발급 가능합니다. 분실하거나 훼손된 경우 또는 추가 제출이 필요한 경우에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간편하게 재발급할 수 있어요.
2️⃣ 보건증 유효기간, 직종별로 다릅니다
직종 구분 | 유효기간 |
---|---|
일반 식품업 종사자 | 검사일로부터 1년 |
학교급식소 종사자 | 검사일로부터 6개월 |
유흥업 종사자 | 검사일로부터 3개월 |
유효기간이 지나면 단순 재발급이 아닌 다시 건강검진을 받고 새로 발급 받아야 하므로 미리 체크해두는것이 좋습니다
3️⃣ 재발급 방법은? (온라인 & 오프라인)
📌온라인 재발급
- 공공보건포털(https://www.g-health.kr)
- 정부24(https://www.gov.kr)
- 본인 인증 후 PDF로 즉시 출력 가능
📌오프라인 재발급
- 최초 보건증을 발급받은 기관 방문 (보건소, 병의원등)
- 신분증 지참 시, 당일 바로 발급 가능
4️⃣ 처리 기간은 얼마나 걸릴까?

- 재발급 : 온라인/오프라인 모두 즉시 출력 또는 수령 가능
- 신규발급 : 건강검진 후 5일정도 소요
시간이 촉박한 경우에는 재발급 경로를 활용하는것이 훨씬 효율적이에요.
5️⃣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유효기간이 지나면 재발급이 불가능합니다. 다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며, 새로 발급 받는 절차를 따라야합니다.
6️⃣ 2024년 개정사항 요약
기존에는 유효기간 만료 이후에 무조건 재검진 대상이었지만 2024년 개정으로 인해 만료일 전후 30일 이내에 갱신 건강검진이 가능해졌습니다. 이제는 유효기간이 조금 지나도 재검진 걱정없이 갱신할수 있습니다.
결론 및 요약
✅ 보건증 재발급은 유효기간 내 언제든 가능
✅ 온라인/오프라인 모두 즉시 가능
✅ 유효기간이 지나면 재발급 불가, 건강검진 필요
✅ 2024년부터 갱신 여유가 생김 (전후 30일 이내 가능)
💬보건증 관련 꿀팁이 더 궁금하시다면 댓글로 질문 남겨주세요